본문 바로가기
에너지공부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by 푸아안 2022. 8. 7.
반응형

1. 울산 부유식해상풍력 프로젝트 현황

 

GWEC(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 세계에는 121.4MW의 부유식 해상풍력이 설치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설치되지 않았지만, 특히 울산 지역에서 6GW에 달하는 사업들이 발전사업허가를 받고 개발 중에 있습니다. 추가 개발 의사를 밝힌 사업 3GW를 합하면 총 9GW의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이 울산에서 개발 중입니다. GIG-TotalEnergies(귀신고래1·2·3호), 에퀴노르(반딧불), CIP(해울이1·2·3), 쉘-코헨스헥시콘(문무바람1·2·3), KWF(한국부유식·이스트블루파워) 등의 5개 해외 민간투자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했으며, 국내 공기업인 한국석유공사, 동서발전이 에퀴노르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발전사업허가는 풍력사업을 개발하기 위한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울산 발전사업허가 획득한 프로젝트 리스트>

사업자 프로젝트명 용량(MW)
GIG/토탈에너지스 귀신고래1 부유식해상풍력 504
귀신고래2 부유식해상풍력 504
귀신고래3 부유식해상풍력 504
에퀴노르 반딧불 부유식해상풍력 804
쉘/코엔스헥시콘 문무바람1 부유식해상풍력 420
문무바람2 부유식해상풍력 420
문무바람3 부유식해상풍력 420
한국부유식풍력(케이에프윈드) 한국부유식해상풍력 870
이스트블루파워 부유식해상풍력 450
CIP/SK E&S 해울이1 부유식해상풍력 520
해울이2 부유식해상풍력 525
해울이3 부유식해상풍력 518
석유공사/동서발전/에퀴노르 동해1 부유식해상풍력 200
총 계 6,659

 

<울산 발전사업허가  전 프로젝트 리스트>

사업자 프로젝트명 용량(MW)
RWE - 1,500
BayWa r.e. - 1,500
총 계 3,000

 

풍력발전기가 전기를 생산하려면 최소 3~3.5m/s의 풍속이 필요하며, 풍력발전의 경제성 확보 최소치가 평균풍속 5.5~6m/s 임을 감안하면 울산 사업 예정지의 평균풍속은 8m/s으로 조사되 사업성이 양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준 내용
전기 생산 최소 풍속 3~3.5m/s
풍력발전기 설비 용량 풍속 11m/s를 기준으로 바람을 정면으로 마주했을 때 발생하는 최대 출력
풍력발전의 경제성 확보 최소치 평균풍속 5.5~6m/s
발전기 중지(기계 고장 우려) 25m/s 이상

 

해상풍력발전사업은 전기위원회의 발전사업허가를 획득하고 환경영향평가 등 9개 부처에서 25개의 법령상 인허가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육상풍력은 4~5년, 해상풍력은 6~7년의 개발 기간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인허가 지연, 주민 민원 등으로 인해 더 많은 기간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구분 인허가 개발기간
육상풍력 8개부처 22개 법령상 인허가 4~5년
해상풍력 9개부처 25개 법령상 인허가 6~7년

 

2.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관련 기업(컨소시엄)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관련 기업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명 기업명(컨소시엄)
귀신고래3 기본설계(Front-End Engineering Design, FEED)
현대중공업, 도리스 엔지니어링
테크닙 에너지스(Technip Energies, 프랑스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삼강엠앤티, 서브시세븐(Subsea 7, 영국 해양 부문 설계·조달·시공(EPC))

3. 부유식 해상풍력 관련 사업 진출 현황

부유식 해상풍력은 기후 위기 및 에너지 안보를 극복하기 위한 재생에너지로서 유망한 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에 따르면 2020년 약 30GW에 불과했던 세계 해상풍력 설치 용량은 2030년 228GW, 2050년에는 1000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부유식 해상풍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발전기를 띄우는 부유체, 해상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반잠수식 해양플랜트 등의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여러 기업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관련 사업개발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기업명 내용
삼성중공업 9.5MW급 대형 해상 풍력 부유체 모델(Tri-Star Float) 독자 개발(`21.07)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해상풍력 바람이 분다②] 부유식해상풍력 6.1GW 발전사업허가 받고 순항 중 - 일렉트릭파워 (epj.co.kr)

 

[해상풍력 바람이 분다②] 부유식해상풍력 6.1GW 발전사업허가 받고 순항 중 - 일렉트릭파워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영국·중국·독일·덴마크 등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의 해상풍력 설치량이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반해 국내 해상풍력사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2020년 기

www.epj.co.kr

삼강엠앤티, 504MW 규모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기본설계 시행사 선정 - 전자신문 (etnews.com)

 

삼강엠앤티, 504MW 규모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기본설계 시행사 선정

삼강엠앤티가 울산 앞바다에 조성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기본설계를 맡았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회원사인 삼강엠앤티가 울산 귀신고래3 프로젝트 기본설계(FEED) 시행 컨소시엄으로

www.etnews.com

 

현대중공업,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기본설계 맡았다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현대중공업,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기본설계 맡았다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 앞바다에 추진되고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에 현대중공업이 본격 참여한다.  그린인베스트먼트그룹(GIG)의 글로벌 해상풍력 전문 회

www.fnnews.com

[집중검증] 문재인 대통령이 띄운 48조5000억원짜리 신안 풍력발전 : 월간조선 (chosun.com)

 

문재인 대통령이 띄운 48조5000억원짜리 신안 풍력발전

신안 풍력단지에서 생산하는 실제 電力은 原電 2기 수준

monthly.chosun.com

 

부유식 해상풍력… 조선사들 ‘바다 위 발전소’에 눈을 뜨다-국민일보 (kmib.co.kr)

 

부유식 해상풍력… 조선사들 ‘바다 위 발전소’에 눈을 뜨다

울산항에서 남동쪽으로 58㎞ 떨어진 해역에 동해가스전이 있다. 올해 생산을 종료한다. 하지만 동해가스전 플랫폼은 생산을 끝낸 뒤에도 ‘친환경 에너지’로의

news.kmib.co.kr

 

반응형

'에너지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전사업세부허가기준 등에 관한 고시  (0) 2022.08.10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0) 2022.08.09
재생에너지 고정가격계약  (0) 2022.08.05
RPS제도  (0) 2022.08.04
풍력발전시스템 제조회사  (0) 2022.08.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