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공부

3. 풍력발전시스템 제조회사

by 푸아안 2022. 9. 17.
반응형

1. 두산에너빌리티

 

풍력발전기는 크게 블레이드, 나셀, 타워로 구성되며 구성품을 조립하여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조하는 회사가 있습니다. 이런 풍력발전 시스템 제조업체는 베스타스, 지멘스가메사, GE 등 해외 업체와 두산에너빌리티, 유니슨 등 국내업체가 있습니다. 두산중공업에서 사명을 바꾸었습니다. 에너빌리티(Enerbility)는 에너지(Energy)와 지속 가능성(Sustainbility)을 합친 말이라고 합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신재생, 가스 터빈, 수소, SMR(소형 모듈 원전) 등 여러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두산에너빌리티의 풍력발전사업은 풍력발전 시스템 제조, 풍력발전 단지의 입지 선정/검토, 풍황 분석 및 사업타당성 검토, EPC 및 O&M 서비스 등 여러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20년 10월 기준 총 339.5MW의 풍력발전기를 운전 또는 건설 중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최초의 상업용 해상풍력 단지인 탐라해상풍력 30MW와 서남해 해상풍력 60MW 등 해상풍력발전기 공급실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풍력발전 시스템은 육해상 공용인 3.3MW, 3MW와 해상용인 5.56MW, 8MW가 있습니다.

 

2. 유니슨

 

유니슨은 풍력 발전사업개발, 풍력발전 기자재 개발 및 공급, 풍력발전사업 PF(Project Finance), 풍력발전 단지 건설, 발전(전력)사업, 풍력발전 단지 유지 보수 등 풍력발전 전문 기업입니다. 유니슨은 2020년도 9월 기준 국내에 총 251.4MW의 풍력발전기 공급실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슨의 풍력발전기는 육상용 2MW, 2.3MW와 육해상 공용 4.2MW, 4.3MW가 있습니다. 3. 베스타스는 덴마크의 풍력터빈 제조업체입니다. 4. 지멘스가메사는 독일의 풍력터빈 제조업체입니다. 최근에 두산에너빌리티와 국내 해상풍력시장에서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습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는 초대형 해상풍력에 대한 시스템, 부품, 생산, 설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협력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용 수지 제조사로 발전소 개발 사업에도 진출한 대만전력공사의 자회사인 Swancor와 재활용이 가능한 풍력 터빈 블레이드도 개발한다고 합니다. 풍력터빈 블레이드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의 복합재료로 제작되어 재활용이 어려워 매립하는 방식으로 폐기됩니다. 이에 폐기물 문제가 떠오르고 있는데 재활용이 가능한 블레이드가 개발된다면 더욱 환경친화적인 산업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